티스토리 뷰
Constrain
Animation 모드 - Constrain 탭 클릭 -> 가장 자주 쓰이는 기능은 "Parent"
* 옵션창에 들어가서 reset & save setting 해 주는 것이 좋음
선택 순서
- 움직임의 기준이 되는 대상(parent) -> 따라갈(쫓아갈) 대상(child)
- 일반 계층구조생성 방식(단축키 p)에서는 child 선택 -> parent 선택
- child의 채널 값에는 "Blend Parent" 라는 속성 생성
- child에 애니메이션 키(key)를 적용할 때 작동
- 1이면 parent의 움직임을 따름(parent의 영향 100%)
- 0이면 parent의 움직임을 따르지 않음(parent의 영향 50%)
Constrain 해제 방법
- child 오브젝트의 모든 속성값 클릭 후 우클릭 -> Break Connection
- 단 KEY도 사라지는 극단적인 방법임
- Outliner에서 child에 "f"키 적용 -> contrain 걸린 속성(빨간 좌물쇠) 삭제 -> constrain 정보가 삭제됨
- child 오브젝트 클릭 -> 상단메뉴 Edit -> Delete by type -> Constraints 클릭
Motionpath
커브를 따라가는 애니메이션
Curve 제작
- 상단메뉴 Create -> Curve Tools -> 원하는 커브 제작 툴 선택(주로 cv curve tool) -> 커브 제작 후 enter
Curve 수정
- Curve 선택 후 우클릭 -> control vertex
- 점 이동하여 커브 수정
- 편집모드에서 나오는 방법
- f8 클릭하여 object 모드로 전환
- 커브 클릭 후 마우스 우클릭 -> object mode
Motionpath 제작
선택 순서 : 오브젝트 -> 커브
- Animation 탭 -> Constrain -> Motion Paths -> Attach to Motion Path 옵션창
- front axis 값 조절하여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(커브를 따라가는 방향) 수정
- Constrain -> Motion Paths -> Flow Path Object 옵션창
- Front, Up, Side의 Divisions 값을 늘려가며 자연스러운 움직임 제작
Motionpath 삭제
오브젝트 키가 들어간 속성값 클릭 후 마우스 우클릭 -> Break Connection
오브젝트 클릭 -> 상단메뉴 Edit -> Delete by type -> Motion Paths 클릭 => 조금 더 깔끔하게 지워짐
AnimLayer
AnimLayer로 만들(수정할) 오브젝트 클릭 -> 오른쪽 하단 Anim탭 이동 -> Layer 추가(맨 오른쪽 아이콘)
레이어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애니메이션 제작
Anim 레이어 합치기
- 합칠 레이어 선택 -> 마우스 우클릭 -> Merge Layer
'MAYA > 모델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YA] 애니메이션 무게감 표현하기 (0) | 2022.08.23 |
---|---|
[MAYA] UV (0) | 2022.07.09 |
[MAYA] 모델링 후 클린업 작업 (0) | 2022.07.09 |
[MAYA] Layer (0) | 2022.07.08 |
[MAYA] Edge (0) | 2022.07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