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MAYA/기타

CG 작업 단계

Nyugati 2022. 7. 8. 15:12

3D Production Pipeline은 크게 PRE-PRODUCTION, PRODUCTION, POST-PRODUCTION 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.

PRE-PRODUCTION

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스토리를 구상하고, 스토리보드를 짠 다음, 예산을 측정하고 감독과 프로듀서가 캐스팅 작업을 진행한다.

 

PRODUCTION

본격적인 영상 작업에 들어간다. 하위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고, 파트별 필수 프로그램은 이 색으로 정리해뒀다. (단, 툴은 회사마다 달라서 완전히 통일시키기는 어려움)

1. Layout : camera, asset 배치 및 이동. 레이아웃 아티스트는 장면의 프레임, 구성, 카메라 각도 및 경로 및 움직임, 각 주요작면의 라이팅을 고려하며 감독과 전체적인 그림에 대해서 소통한다. 마야

2. Match move : Lidar 데이터 촬영 및 3d로 재현

3. Environment : 환경 세팅, 배치. 자연환경을 예로 들면 산과 들을 만들고 풀, 나무를 깔고 룩업까지 하는 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
4. Supervisor : 촬영 현장에서 레퍼런스 촬영. 작업에 필요한 요소들 측정도 진행함. 아티스트가 올린 작업에 대해 피드백도 주고, 영화 감독과의 중간 역할을 하기도 함.

5. Modeling : asset 형태 조각. 주로 마야를 사용. Supervisor 팀이 가져온 레퍼런스를 적극 참고하여 형태를 만들어 냄. UV 펼치는 작업도 모델링팀에서 진행한다. 마야, 지브러시, Marvelous Desinger(주로 옷, 천),...

6. Texturing&Lookdev : 쉐이딩까지 포함하여 룩디벨롭팀이라고 불리기도 한다. asset에 색/질감 넣기, Fur 심기, 모델링의 디테일 살리기 등을 진행함. 텍스처를 칠하는 것까지가 texturing이고, 3d프로그램으로 넘어와서 쉐이더를 짜는 것이 룩디벨롭이다. Mari(2d 텍스처), Substance Painter/Designer(3d 텍스처), Photoshop,...

7. Rigging : 팔,다리,얼굴 등 애니메이션이 들어갈 부분에 Controller르 심는 작업 진행. 마야

8. Animation : controller를 기반으로 Key를 넣어 움직임을 주는 작업 진행. 마야

9. FX : Effect(물, 불, 먼지, 부서짐) 물리 체계 반영. 주로수학 공식이나 프로그램 언어 등을 이용하여 현실세계와 비슷한 물리체계를 만들어낸다. 후디니

10. Simulation : Asset에 물리 체계 반영(옷의 펄럭거림, 머리카락의 찰랑거림). 마야

11. Lighting/Rendering : 3d 공간에 조명 설치 및 렌더. 렌더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앞선 팀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으면 좋다. 마야(Vray,아놀드), Houdini, Clarisse, Unreal Engine(주로 게임 업계. 영화업계에서는 잘 사용되지는 않음), Katana

POST-PRODUCTION

1. Compositing : 실사 촬영본에 3d 이미지 합성. Nuke

2. Matte Painting : 고정된 이미지 2d로 수정. 고정되어있는 뒷배경 등을 포토샵등으로 구현함. 포토샵

3. Motion Graphic : 오프닝/클로징 시퀀스

4. DI : 색 보정

'MAYA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AYA] 프로젝트 환경 구축  (0) 2022.07.08
[MAYA] 기본 단축기(계속 추가 예정)  (0) 2022.07.08
cg 작업 시 도움될 만한 사이트  (0) 2022.07.08
애니메이션 이론  (0) 2022.07.0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